전체 글 375

72.04_[Cloud] AWS_인스턴스 연결_22.12.02

>Session Manager 1. AWS - EC2 - 인스턴스 - 연결을 원하는 인스턴스 선택 - 연결 - Session Manager로 연결 2. 터미널 화면으로 이용가능 3. bash 입력 시, git bash처럼 사용가능 (여러 선택지가 있을 것 같음) 4. 연결을 종료하고 싶으면 터미널에 exit 을 입력하거나, 오른쪽 상단의 `종료`버튼을 누르면됨. //연결을 종료해도 컴퓨터에 설치해둔것들은 유지가 됨. >EC2 사용 : 현재 가상의 컴퓨터를 연결만 한 상태이다. 즉, 컴퓨터를 사고 켜기만 했을뿐이고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았으므로 필요한 도구를 설치해야한다. >Session Manager 연결 시 사용 방법 0. cd ~; 루트 경로로 이동하기. 1. 패키지 최신화하기 $ sudo apt up..

72.02_[Cloud] AWS, Amazon Web Service_22.12.02

>Amazon EC2 (Elastic Compute Cloud) : AWS,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: 아마존에서 가상의 컴퓨터 한 대를 빌리는 개념 : 서버, 스토리지, 데이터베이스 등 /* Elastic의 의미 : 사용한만큼의 비용, 필요한만큼의 성능,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 */ >Amazon EC2 장점 -빠르게 PC를 구축할 수 있음.(실제 PC를 구매하는 것 보다) -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음. (AMI) -CPU, RAM, 용량도 손쉽게 구성가능 >인스턴스 : 인스턴스란, AWS에서 빌린 1대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단위 : 인스턴스는 물리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PC랑 다를바가 없고, 물리적인 PC에서 할 수 있는 것을 모두 할 수 있음. : 단, 인터..

72.01_[Cloud] 운영 환경 구성_개요_22.12.02

>온프레미스 : 기존 서버 방식 : 물리적으로 서버를 구축 : 주기적인 관리의 어려움과 물리적인 공간의 필요가 단점 >클라우드 -장점 : 필요에 맞추어 유연하게 컴퓨팅 능력을 조절할 수 있음. : 사용한만큼만 비용이 소모됨 : 스냅샷을 이용해 다른 컴퓨터로 migration(이주) 가능 -단점 : 해당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에 종속됨. >클라우드 서비스 형태 //추가 검색 -SaaS(Software as a Service) : 당장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공 -PaaS(Platform as a Service) : 데이터베이스, 개발 플랫폼 제공 -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: 가상 컴퓨터까지 제공 >배포(4단계) -1단계; Development : Local ..

[OAuth2] 로그인 에러(nullable) 및 궁금증

>에러 상황 : 아파치 웹서버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http://localhost에 접속하면 index.html로 구성한 화면이 뜨지만, Google로 로그인을 누르면 null을 허용할 수 없다는 식의 에러가 발생함 >에러 스크린샷 >해결 : Member 클래스에 존재하는 필드들 속성값 중 nullable=false 를 제거함 : email 필드의 nullable=false는 제거할 필요 없음. >설명 : email 을 통해 Member 객체를 생성하고 DB에 저장하는 부분이 있음. (문제 지점) : OAuth 2 Provider 마다 다를 수 있지만, 구글은 본인 로그인 방식으로 인증 후 유저의 email 정보는 제공해주지만 name, phone 같은 정보는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Member 객..

Error/Spring Error 2022.12.01

71.01_[Spring WebFlux] Spring Web Flux_22.12.01

>Spring WebFlux : Spring MVC 방식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방식 중 하나이며, Spring MVC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보다 대량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현 방식(기술)이다. : 리액티브 시스템, 리액티브 프로그래밍, 리액티브 스트림즈, 프로젝트 리액터를 사용하는 기술이다. : Spring 5.0부터 지원하는 리액티브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웹 프레임워크이다. >WebFlux 단어의 이해 : Reactor의 타입은 0개 혹은 1개의 데이터만 emit하는 Mono 타입과 N개의 데이터를 emit하는 Flux 타입이 있다. : WebFlux는 말 그대로 Flux 타입을 Web 적용한 것을 의미한다. >Spring MVC와 Spring WebFlux 비교 >참고 링크 ..

70.01_[Spring WebFlux] Project Reactor_22.11.30

>Project Reactor (Reactor) : 리액티브 스트림즈 표준 사양 구현체 중 하나(대표) : Spring Reacive Web Application을 만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. : Reactor 뿐 만 아니라 Spring WebFlux 를 사용. : 즉, Spring Reacive Web Application은 Reactor를 이용한 Spring WebFlux 기반의 Application이다. >Reactor 공식 홈 https://projectreactor.io/ >Reactor 특징 1. Reactive Streams를 구현한 리액티브 라이브러리 2. Non-Blocking 통신 지원 3. Mono[0|1] 과 Flux[N]이라는 두 가지 타입의 Publisher 지원 //Mono[..

[Spring] Spring Rest Docs

>Spring Rest Docs 항목 curl-request : curl은 command line에서 사용되는 URL을 의미함. http-request : http request(요청)으로 들어오는 내용을 나타냄, header와 body로 이루어짐 http-response : http response(응답)으로 나가는 내용을 나타냄, header와 body로 이루어짐 httpie-request : Httpie 또한 curl 과 같다. 다만 httpie라는 curl을 사용하는 client이다. request-body : http request(요청)에서 body 부분만을 나타낸다. request-fields : http request(요청)을 위해 입력해야할 정보를 나타낸다. response-body : ..

Memo/짧은 메모 2022.11.29